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NLP 4가지 주요 원리와 용어
    NLP 기초 2019. 1. 7. 16:03

    NLP 네가지 주요원리 1) 레포(Rapport)의 원리

    상담에서 내잠자(client)와 상담자(counselor)사이의 신뢰하는 인간관계-성공적인 상담관계의 필수 요건 자신과의 레포-신체, 마음, 영적 또는 초개인적 연합 2) 목표(goal/outcome) : 성공이란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 목표를 알지 못할 때 성공기준이 모호해 지므로 어떤 일을 해 놓고도 과연 성공했다고 할 수 있을지 또 무엇을 성공이라고 해야 할지 말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NLP를 통해 자신이 원하거나 추구하는 목표 또는 성과를 설정할 수 있다. 3) 감각적 민감성(sensory acuity)의 원리 사람들은 감각기관을 사용함으로써 어떤 현상에 대하여 직접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감각기관을 통해 직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을 때 자신의 목표를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조절할 수 있게도 된다. 4) 행동적 융통성(behavioral flexibility)의 원리 특정 행동을 고집하기 보다는 융통성 있게 행동하라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융통성 있게 선택할 수 있는 행동적 대안이 많다. 선택의 폭이 넓을수록 성공기도 많아진다. 보다 융통성 있게 행동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도록 꾸준히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 학습의 4단계 1. 의식하지 않는 능력 단계(사무라이 단계)(unconscious competence)2. 인식하는 능력 단계(conscious competence) 3. 인식하는 무능력 단계(conscious incompetence) 4. 인식하지 못하는 무능력 단계(unconscious incompetence)

    잠재의식의 성격(subconsciousness) - 의식(consciousness) : 알아차리고 있는 상태, 정신을 바싹 차리고 있는 상태와 아울러 우리의 자각, 느낌, 감각, 심상(image) 그리고 생각 등을 포함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즉각적인 경험, 즉 마음의 내용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의식은 또 내성이로서 관촬 할 수 있는 것, 또는 현재 경험의 총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전의식(preconcious) : 현재는 의식하고 있지 않지만 생각만 하면 쉽사리 의식속에 떠울릴 수 있는 생각, 느낌, 그리고 충동 등을 포함하고 있는 인격의 일부분을 말하는 정신분석학적 용어이다. - 무의식(unconscious) : 정신분석학에서는 직접 의식할 수는 없지만 그 사람의 생각과 행동에 역동적 영향을 주는 기억, 감정적 갈등, 소원, 그리고 억압된 충동등을 포함하는 정신의 영역 또는 부분을 말한다. 꿈, 공상, 말실수 그리고 신경증적 증상들을 모두 무의식적 과정의 표현이다. - 잠재의식(subconscious) : 현재는 전문용어로서 보다는 대중적으로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의식하에 있는 마음의 영역을 말한다. 전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하고 있다. 형용사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는 의식하지 않고 있거나 또는 어렴풋이 의식하고 있는 내용으로서 관심을 가지면 의식화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용어이다.

    'NLP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목화(chunking)의 구조  (0) 2019.01.10
    래포의 방법 5가지  (0) 2019.01.09
    NLP에서 라포르(rapport in NLP)  (0) 2019.01.08
    그럼 NLP란 무엇입니까?  (0) 2019.01.07
    NLP의 역사와 훈련과정  (0) 2019.01.07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