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목화(chunking)의 구조NLP 기초 2019. 1. 10. 11:08
세목화(chunking) 세목화는 컴퓨터에서 나온 말인데 그 의미는 무엇을 비트(bit)로 나누는 것을 말한다. 분쇄, 단계 혹은 유목화라고다 한다. 상향유목화, 하향유목화 세목화는 자원을 오르내리면서 지각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메타모형(meta model)은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주어진 언어로부터 이래로 구체성을 띄고 상세하게 내려가므로 하향세목화(chunking down)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밀턴모델(Milton model)은 많이 구체적인 사례를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문장구조로 바꿈으로서 주어진 언어로 부터 추상적으로 위로 올라가는 것으로 상향세목화(chunking)라고 한다. NLP에서 세목화(chunking)라는 용어는 약간의 경험을 크고 작은 부분으로 재조직화하거나 부숴버리는 (breaking down)것과 관련되어 있다. 상향세목화(chunking up)은 운송형태, 예를 들어 자동차 부류, 기차, 배, 비행기와 같이 보다 크고, 보다 일반적으고 추상적인 정보수준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하향유목화(chunking down)은 예컨대 자동차가 타이어, 엔진, 브레이크 체게, 변속장치(stransmission)등 으로 세목화될 수 있는 것처럼 보다 특수하고 구체적인 수준의 정보를 움직이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측면세목화(chunk laterally)는 예컨대 차를 운전하는 것(driving a car)이 말을 타는 것, 자전거 페달을 밝는 것, 혹은 배를 항해 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는 것처럼 다른 예를 같은 수준의 정보에서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밖에 세목화(chunking)은 사람들이 그(그녀)의 주의를 어떻게 사용하는 가 하는 방법과 관련되어 있다. 세목화크기(chunk size)는 한 사람이나 집단이 문제나 경험을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과 그리고 판단이나 일반화는 전체 계급이나 다만 계급의 확실한 구성원 중 하나에 적용하는 것으로 상황은 상세함(미시적 정보세목)과 일반원칙(거시적 정보세목)의 정도를 변화시킨다는 의미에서 인지될 수 있다. 어떤 것은 구에서 개별적인 철자와 같이 작고 상세한 것에 혹은 책의 기본적 주제와 같이 보다 큰 비중의 경험에 주의의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 큰 세목(big chunks)과 작은 세목(small chunks)사이에 관계에 관한 의문이 있다. (만약 특수한 절차가 정확하다면 그것은 아이디어가 철자가 부정확한 것에 의해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특수상황에서 그(그녀)의 경험을 세목화하는 방법은 도움이 되거나 문제가 될지도 모른다. 한 사람이 현실주의적으로 생각하도록 시도했을 때 보다 작게 세목으로 생각하는 가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두뇌선풍(brain storming)을 했을 때 작은 세목에 대한 주의는 그 사람을 나무에 대한 숲의 시각을 상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움이 되지 않는 비판적 시간은 저것은 절대 작동 하지 않는다. 끝까지 마무리가 된다, 혹은 나는 항상 너무 위험한 생각을 많이 해, 등과 같이 공평하게 큰 세목(chunk)이나 일반화(generalizations)라는 점에서 종종 말해진다.
'NLP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래포의 방법 5가지 (0) 2019.01.09 NLP에서 라포르(rapport in NLP) (0) 2019.01.08 그럼 NLP란 무엇입니까? (0) 2019.01.07 NLP 4가지 주요 원리와 용어 (0) 2019.01.07 NLP의 역사와 훈련과정 (0) 2019.01.07